12 浏览한국어 논문 작성 방법 연구
(How to Write an Academic Paper in Korean)
Ⅰ. 서론 (Introduction)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한국어 논문은 학문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글쓰기 형식으로, 논리적 구성과 객관적 자료 제시가 핵심이다. 한국 학술 논문은 일반적으로 연구 주제 선정 → 선행 연구 검토 → 연구 방법 설정 → 분석 및 논의 → 결론 도출의 구조를 따른다. 본 글의 목적은 한국 대학 및 학회에서 요구하는 논문 형식, 문체, 인용 방식, 논리 전개 방법을 심층적으로 설명하여, 한국어로 학술 논문을 작성하려는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2. 연구 범위와 구성
본 연구는 (1) 논문 구성 체계, (2) 연구 주제 선정과 문헌 검토 방법, (3) 본문 작성 시의 언어적 표현과 논리 구성, (4) 인용 및 참고문헌 형식, (5) 결론 작성의 전략으로 구성된다.
Ⅱ. 본론 (Main Body)
1. 논문 구성 체계 (Structure of a Korean Academic Paper)
한국 학술 논문의 전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 구분 | 내용 요약 | 작성 요령 |
| - | | |
| 제목(Title) | 주제를 명확히 표현 | 핵심 개념 중심, 20자 내외 |
| 초록(Abstract) | 연구 목적·방법·결과 요약 | 한국어·영문 병기, 200–300자 |
| Ⅰ. 서론 | 연구 필요성·목적·범위·방법 | 객관적 서술, 개인 의견 배제 |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관련 이론·기존 연구 검토 | 학술적 공백(연구의 필요성) 강조 |
| Ⅲ. 연구 방법 | 대상·자료·분석 방법 명시 | 정량·정성 연구 모두 구체화 |
| Ⅳ. 분석 및 결과 | 실제 분석 내용·표·그래프 | 객관적 결과 제시 |
| Ⅴ. 결론 및 제언 | 핵심 결과 요약·한계·제안 | 후속 연구 방향 제시 |
| 참고문헌 | 인용된 자료 명시 | APA, MLA, 한국식 등 규범 준수 |
이 구조는 대학 논문, 학술지 논문, 석·박사 학위 논문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2. 연구 주제 선정과 문헌 검토 (Topic Selection & Literature Review)
(1) 연구 주제의 선정
한국 학계에서는 실제 사회적·학문적 문제 의식에 근거한 주제를 선호한다. 예를 들어,
언어학 분야: “한국어 경어법의 담화적 변이 연구”
경영학 분야: “디지털 금융전환이 은행 리스크 관리에 미치는 영향”
문화콘텐츠 분야: “한국 드라마의 서사 구조와 글로벌 수용 양상”
주제는 명확성(clarity), 연구 가능성(feasibility), 차별성(originality)을 충족해야 한다.
(2) 선행연구 검토
한국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연구 동향”과 “연구 공백” 두 단계로 나누어 기술한다.
예:
> 기존 연구에서는 A 이론을 중심으로 B 현상을 분석하였으나, C 변수에 대한 실증적 접근은 미비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이처럼 ‘연구의 필요성’을 명시하는 것이 문헌 검토의 핵심이다.
3. 본문 작성 시의 논리 구조와 표현 (Logical and Linguistic Construction)
(1) 논리적 전개
한국 논문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논리 흐름을 따른다.
> 주장(제시) → 근거(이론 및 데이터) → 분석(비교 및 해석) → 종합(결론 도출)
문단별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입부(Introduction of Paragraph):연구 문제 제기
전개부(Development):구체적 근거·자료 제시
결론부(Conclusion of Paragraph):핵심 요약 및 다음 절로의 연결
(2) 언어적 특징
객관성 유지:1인칭(“나는”) 사용 금지. → “본 연구에서는”으로 대체
격식체 사용:종결어미는 “-다”형으로 통일 (예: “~이다.”, “~하였다.”)
전문 용어의 일관성:한자어나 외래어는 처음 등장 시 한글+괄호 병기 예: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표와 그림의 기술:표에는 제목을 “〈표 1〉 연구대상 기본 정보”로, 그림은 “〈그림 1〉 연구모형”으로 표기
4. 인용과 참고문헌 작성법 (Citation and References)
한국 논문은 대부분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표준에 따라 APA 스타일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1) 본문 인용
단일 저자: (홍길동, 2022)
두 명 이상: (김영희·박민수, 2023)
외국인 저자: (Smith, 2021)
직접 인용 시: “……”(홍길동, 2022: 15)
(2) 참고문헌 작성 예시
단행본:
> 김철수(2021). 한국어 논문작성법. 서울: 학문사.
학술지 논문:
> 이민정·정수진(2023). “디지털금융의 리스크 전이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 47(2), 85–102.
외국 문헌:
> Porter, M. (1985). Competitive Advantage. New York: Free Press.
5. 결론 작성의 전략 (Writing the Conclusion)
결론은 “요약 + 의의 + 한계 + 제언” 네 단계로 구성된다.
1. 요약(Summary):연구 목적, 방법, 결과를 간결히 재진술.
2. 의의(Implications):학문적·실무적 기여 명시.
3. 한계(Limitations):연구 범위, 표본, 방법의 제약을 솔직히 기술.
4. 제언(Future Research):후속 연구의 방향 제시.
예시:
> 본 연구는 디지털 금융 리스크 전이에 대한 네트워크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다만, 분석대상이 단일 은행에 국한되었으므로 향후 다수 기관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Ⅲ. 결론 (Conclusion)
한국어 논문은 “명확한 구조화 + 객관적 서술 + 일관된 인용체계”를 핵심으로 한다. 논문 작성 과정에서 논리적 일관성(logical coherence)과 형식적 정확성(formal accuracy)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초록과 결론의 내용이 일치해야 하고,
표·그림은 본문 논의와 직접 연계되어야 하며,
참고문헌에 누락된 인용은 없어야 한다.
한국 학술 문화에서 논문은 단순한 학습 과제가 아니라 지식 생산의 행위로 간주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언어적 정제뿐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를 논리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Ⅳ. 부록 (Appendix)
1. 한국 학위논문 형식 예시 (요약)
```
표지 → 초록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본문(Ⅰ~Ⅴ) → 참고문헌 → 부록 → 감사의 글
```
2. 학술적 문체 예문 비교
| 구분 | 비학술적 표현 | 학술적 표현 |
| -- | -- | -- |
| 1 | 나는 이 문제를 연구했다. |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분석하였다. |
| 2 | 그래서, | 따라서, / 그러므로, |
| 3 | 많은 사람들이 | 다수의 연구자들이 / 일반적으로 |
| 4 | ~할 수 있다 |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가능하다 |
Ⅴ. 참고문헌
1. 김철수(2021). 한국어 논문작성법. 서울: 학문사.
2. 박지은(2020). “한국 대학의 학술 논문 작성 관행 연구.” 한국교육연구, 38(3), 101–125.
3. 이민정·정수진(2023). “학술논문 구조와 논리 전개 전략.” 언어와 담화, 25(1), 45–67.
4. Porter, M. (1985). Competitive Advantage. New York: Free Press.
5. Creswell, J.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Sage.